DIPS 1000+ 미래 모빌리티 & 로봇 홈페이지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

DIPS 1000+미래 모빌리티 & 로봇 언론보도
언론보도

나르마, 드론 美 기술성숙도 성적서 획득

페이지 정보

작성자 최고관리자 댓글댓글 0건 조회조회 3회 작성일작성일 25-07-10 13:51

본문

북미 시장 진출 위한 기술 인증
매터넷·에어로보틱스 수준 기술신뢰성 확보

틸트로터 드론 전문기업 나르마가 미국 연방항공청 산하 자율비행연구소로부터 기술성숙도 성적서를 획득했다. [사진=나르마]
틸트로터 드론 전문기업 나르마가 미국 연방항공청 산하 자율비행연구소로부터 기술성숙도 성적서를 획득했다. [사진=나르마]
틸트로터 드론 전문기업 나르마(대표 권기정)가 미국에서 의미 있는 성과를 거뒀다.

나르마는 자사 드론 'AF100'이 미국 연방항공청(FAA) 산하 자율비행연구소(Autonomy Research Institute, ARI)로부터 기술성숙도 성적서(Maturity Level Attestation, MLA)'를 획득했다고 17일 밝혔다.

이번 인증은 단순한 기술시험을 넘어 나르마가 본격적인 북미 시장 진출을 위한 실질적 인증 기반을 확보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나르마 관계자는 "글로벌 드론 사업 전략에 있어 중대한 이정표"라며 의미를 부여했다.

나르마가 받은 MLA 인증은 지난 2월부터 약 4개월에 걸쳐 미국 텍사스주 코퍼스 크리스티(Corpus Christi) 현지에서 진행된 시험을 통해 획득됐다. 초격차스타트업 육성사업의 지원을 받아 추진된 이 프로젝트에서 나르마는 단일 기체로 총 30시간 무사고 비행을 완수하며 기술 신뢰성을 입증했다.

시험을 진행한 ARI는 FAA 산하에서 자율비행 기술 검증을 담당하는 전문기관으로, 독자적인 비행장과 시험 장비, 전담 파일럿을 갖춘 테스트 인프라를 운영 중이다. 드론 기업이 직접 시험을 의뢰하면 ARI가 검증을 실시하고 성숙도 성적서를 부여하는 방식이다.

나르마의 북미 시장 진출 전략은 애초 FAA의 형식인증(Type Certification, TC) 취득을 목표로 출발했다. 그러나 FAA가 2024년 하반기부터 소형 무인기 규정(Part 108) 정비를 이유로 TC 발급을 잠정 중단하면서 계획에 변화가 생겼다.

이러한 상황에서 나르마는 TC에 준하는 ARI의 MLA 인증으로 방향을 전환해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완수했다. 현재까지 FAA로부터 TC를 획득한 기업은 Matternet과 Aerobotics 두 곳뿐이다. 나르마가 이번 MLA를 확보함으로써 이들과 유사한 수준의 기술 신뢰성을 미국 내에서 공식 인정받게 됐다.

MLA 인증 체계는 FAA의 법적 규정에 기반한 강제 인증은 아니다. 대신 누적 무사고 비행 시간을 기준으로 단계적으로 운용 가능 지역을 확장할 수 있는 유연한 기술성숙도 평가 모델이다.

나르마는 이번 30시간 무사고 기록을 시작으로 향후 비행 시간을 꾸준히 축적해 미국 내 농업, 물류, 재난 대응 등 다양한 현장 실증 및 상용 운용을 본격화할 계획이다. 현지 실증 확대에 따라 보다 복잡한 도시 지역이나 인구 밀집 지역으로 운용 범위를 확대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되는 셈이다.

나르마 관계자는 "이번 인증은 단순한 시험 통과를 넘어 미국 내에서 드론 사업을 실질적으로 전개할 수 있는 기반을 확보의 의미를 가진다"며 "AF100 시리즈를 시작으로 농업, 물류, 재난 대응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현장 중심의 실질적 결과물을 만들어 나가겠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프로젝트는 중소벤처기업부의 초격차 스타트업 육성사업의 일환으로 KAIST의 지원을 받아 인증사업으로 추진됐다. 2023년 1월 최초 협의 이후 약 2년간 계약 체결, 문서 작업, 현지 오퍼레이션 준비, 시험 비행까지 전 과정을 거쳐 마무리됐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이용약관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주소 : 대전광역시 유성구 문지로 193 행정동 A404호 근무시간 : 월 ~금 10:00 ~ 18:00 (토.일.공휴일 휴무) 전화 : 042-350-7182 팩스 : 042-350-7155

Copyright © GCC. RESOURCES. All Rights Reserved.

트위터 페이스북 인스타그램